맨위로가기

도카치 해역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카치 해역 지진은 도카치 해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지진을 통칭한다. 주요 지진으로는 1952년 M8.2 지진, 1968년 M7.9 지진 (산리쿠 해역 북부 지진으로 분류되기도 함), 2003년 M8.0 지진, 1843년 M8.0 지진 등이 있다. 1952년, 1968년, 2003년 지진은 쓰나미를 동반하여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2003년 지진은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지역은 17세기 초에 발생한 초거대 지진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지진 발생 주기와 예측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지진 -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은 쿠릴-캄차카 해구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9.0의 해구형 지진으로, 쓰나미를 동반하여 세베로쿠릴스크에 큰 피해를 입혔고, 지구 자유진동 확인 및 태평양 전역에 쓰나미 피해를 일으켰다.
  • 1952년 지진 - 1952년 평양-강서 지진
    1952년 평양-강서 지진은 1952년에 평양과 강서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기원과 한국에서의 영향, 사회적 영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가 존재한다.
  • 2003년 지진 - 2003년 밤 지진
    2003년 밤 지진은 이란 밤에서 발생하여 부실 건축과 미흡한 내진 설계로 밤 시의 대부분을 파괴하고 수많은 사상자와 이재민을 발생시킨 이란 역사상 최악의 지진으로, 국제적인 구호 활동과 이란-미국 관계의 일시적 해빙을 가져왔으나 재건 문제와 사회적 문제 또한 야기했다.
  • 2003년 지진 - 산리쿠 미나미 지진
    산리쿠 미나미 지진은 일본 산리쿠 해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통칭하며, 2003년, 2024년, 1933년 지진 등을 포함하고, 지진 발생 및 지진해일 위험이 높으며, 인명 피해와 사회 기반 시설에 영향을 미쳤다.
도카치 해역 지진
개요
명칭도카치 해역 지진
다른 명칭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
1952년 3월 4일 지진
일본어 명칭十勝沖地震 (도카치오키지신)
로마자 표기Tokachi-oki jishin
발생 위치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지방 해역
좌표북위 41.8° 동경 144.0°
발생 시간1952년 3월 4일 10시 22분 2초 (일본 표준시)
진원 깊이60km
지진 규모M8.2
지진 정보
최대 진도진도 5
쓰나미구시로시: 1m 60cm
에리모정: 3m
인명 피해사망 33명, 실종 5명, 부상 320명
주택 피해전파 815호
반파 1,631호
침수 9,355호
재산 피해50억엔 (1952년 당시 가격)
기타 정보
관련 기관기상청
이전 지진1933년 쇼와 산리쿠 해역 지진
다음 지진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

2. 주요 지진

홋카이도 동부 연안에서는 해일 퇴적물 분포를 통해 17세기에 대규모 해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이 해일의 파원을 치시마 해구의 판 경계에서 발생한 Mw 9 전후의 지진으로 추정하고, 이 지진·해일 이벤트를 "'''초거대 지진(17세기형)'''"이라고 명명했다.[5]

초기 조사에서는 해일 퇴적물 퇴적 간격과 지각 변동을 통해 활동 간격을 300년에서 600년으로 추정했으며, 2005년 중앙방재회의는 "'''500년 간격 지진'''"으로 명명하고 대책을 시작했다.[22] 그러나 정밀한 연대 측정 결과, 실제 간격은 평균 500년이 아닌 100년에서 800년 정도의 불규칙성이 있으며, 평균 발생 간격은 400년 정도로 밝혀졌다.[6]

17세기형 지진에 의한 해일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Mw 8.5[7] 또는 8.6[21], 게이초 산리쿠 지진 해일과 17세기 지진 해일이 동일한 경우 Mw 8.9 이상의 판 간 지진이 예상되고 있다.

홋카이도 동부 연안과 남쪽 쿠릴 열도에는 아이누 민족 집단인 메나시쿠르가 거주했지만, 문자 문화가 없어 이 지역의 대지진 기록은 19세기 이후에나 나타난다.

지질 조사에 따르면, 홍적세 후기에 형성된 해안 단구가 넓게 분포하며, 10만 년 규모에서는 융기하는 경향이 있지만, 평시에는 연간 1cm 가까이 침강하고 있다. 역사 기록을 포함하여 지진으로 융기한 사실은 없으며, 오히려 지진 시에는 약간 침강하고 여진 변동에서의 약간의 융기를 제외하면 계속 가라앉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장기적, 단기적 규모의 모순은 초거대 지진에 의한 융기 이벤트로 설명될 수 있다.[8][9]

연안 퇴적물 조사 결과, 17세기 쓰나미 퇴적물과 17세기 지표 테프라를 포함하는 이탄층 사이에 해성 점토층이 발견되었고, 규조 분석을 통해 융기가 지진 후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일어났으며, 그 융기량은 1m 이상으로 추정된다.[10] 또한, 유사한 이벤트가 과거 약 2800년 동안 최소 6번 발생했다.[11][5]

17세기 초거대 지진의 여진 변동으로 지각 변동의 모순이 해소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지진의 재래 간격(평균 400~500년)을 고려하면 연간 1cm 침강 속도로 누적 침강량은 4~5m에 달한다. 따라서 1m 정도의 융기로는 지진 간 침강분을 회복하고 단구를 높이 끌어올릴 수 없다. 그래서 초거대 지진 사이클에서 여진 변동 종식 후 시작되는 침강이 처음에는 느리고 다음 지진이 다가오면 가속된다는 모델도 제시되었다.[9][12][5]

홋카이도 대학 히라카와 카즈오미 연구팀은 홋카이도 동부 태평양 연안에서 쓰나미 퇴적물을 발견하여 1998년에 발표했다.[21] 또한, 히라카와는 도난 모리정 지층에서 500년 간격 지진으로 추정되는 기원 전후 3층의 쓰나미 퇴적물을 발견했다.[13] 히라카와는 진원역이 도카치・네무로 앞바다뿐만 아니라 산리쿠 앞바다 북부 아오모리 앞바다까지 닿았을 가능성을 제시했다.[14]

2000년 2월 구시로시 하루타리 호수 보링 조사에서는 과거 9000년 동안 20번의 쓰나미 이벤트가 기록되었다.[15] 17세기 쓰나미 퇴적물은 도요코로정 유도누마 부근에서 해안선으로부터 4.4km[16], 하마나카정 기리타푸 습원에서 해안선으로부터 3km 이상[17]까지 분포하며, 쿠나시르 섬에서 시모키타 반도 연안까지 해당 이벤트로 추정되는 쓰나미 퇴적물이 발견되었다.[18][20]

17세기 초 홋카이도 동부 쓰나미와 동일한 쓰나미 퇴적물의 북쪽 한계는 북방 영토 분포 불명확, 남쪽 한계는 시모키타 반도, 산리쿠 해안에서 17세기 초 쓰나미 퇴적물 분포가 확인되었지만, 게이초 산리쿠 지진과의 구별이 어려워 불명확하다.[5] 홋카이도・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하는 17세기 초 쓰나미 퇴적물 중, 북부 히다카 해안에서 우치우라 만에 걸친 것은 1640년 홋카이도 고마가타케 산체 붕괴에 의한 쓰나미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9]

13세기와 17세기 대규모 쓰나미 흔적이 확인되었지만, 마쓰마에 번 입식 이전 문헌 기록이 없어 연도 특정은 불가능했다. 최근 연동은 17세기 초로 추정된다.[20] 1635년 설[21], 1611년 게이초 산리쿠 지진 해당 설, 발견된 쓰나미 흔적이 도카치 해역 지진이 아닌 규모가 큰 게이초 산리쿠 지진의 것이라는 설[22] 등이 있다.

최근 활동 시기가 1611년이라면 이미 400년이 경과했으므로, 모멘트 규모(Mw) 8.5를 넘는 지진이 언제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다는 연구자도 있다.[6] 홋카이도 동부, 북방 영토 해일 퇴적물은 비주기적이며 규모도 제각각이고, 해일 퇴적물 간 비교도 불분명하다. 17세기형 지진 반복 발생 여부도 불확실하며, 해일 퇴적물 통일적 시공간 분포와 과거 대형 지진 실상 규명이 필요하다.[23]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Mw 8.1) 당시 산리쿠 해역 북부에서 발생한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Mw 8.2) 파괴 영역 남쪽에서 지진 활동이 활발해졌다. 도카치 해역(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과 산리쿠 해역 북부 영역(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 연동 시 규모 9 클래스 지진 발생 가능성 연구가 있다.[24]

이후 1843년, 1915년, 1952년, 1968년, 2003년, 2008년에 주요 지진들이 발생했다.

2. 1. 1843년 지진

1843년 도카치 해역 지진의 진도 분포


'''덴포 도카치 해역 지진'''은 1843년 4월 25일 새벽(덴포 14년 3월 26일)에 도카치 해역에서 일어난 해구형 지진이다.[93] 지진 규모는 M8.0,[93] 쓰나미 규모(Mt)는 8.0이다.[5] 러시아에서는 남쿠릴 지진으로 보고 있다.

구시로부터 네무로에 걸쳐 크게 흔들렸으며, 앗케시에서는 하치만 신사가 4-5척 이동하고 지반 균열이 발생했다. 에도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다. 쓰나미가 홋카이도 태평양 쪽에서 쿠릴 열도에 덮쳐 앗케시에서 파고 4-5m를 기록했으며, 번옥과 아이누 가옥이 유실되어 45명이 익사했다.[35] 네무로쿠나시르섬에서도 익사자가 발생했다.[37]

이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의 파원역은 1894년 네무로 반도 해역 지진과 겹치는 것으로 추정[38]되므로, 도카치 해역과 네무로 해역이 연동하여 발생한 판 경계 지진으로 추정된다.[5]

항목내용
발생 일시1843년 (덴포 15년) 4월 25일 12시경
진원의 깊이20km (추정)
지진 규모M8.0
진앙역치시마 해구
종류해구형 지진
최대 진도6
사망자43명[94]
쓰나미앗케시에서 7m 정도


2. 2. 1915년 지진

1915년 3월 18일 3시 46분, 도카치 해역(지시마 해구)에서 지진 규모 M7.0의 지진이 발생했다.[39] 이 지진은 깊이 약 100km의 심발 지진이었다. 우라카와정에서 진도 5를 기록했으며, 이 지진으로 2명이 사망했다.[40] 진원지는 북위 42도 12분, 동경 143도 36분이며, 오비히로 지방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항목내용
발생 시각1915년(다이쇼 4년) 3월 18일 3시 46분
진원 깊이100km(추정)
지진 규모M7.0
진앙역지시마 해구
유형섭입하는 판 내 지진
최대 진도5 (우라카와정)
사망자2명


2. 3. 1952년 지진

1952년 3월 4일 오전 10시 22분 43.5초, 홋카이도 에리모곶 동쪽 약 50km 해역() 깊이 54km 지점에서 규모 M8.2(Mw8.2)의 해구형 지진이 발생했다.[69][70]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으로 홋카이도 이케다정우라호로정에서 최대 진도 6이 관측되었다.[42]

기상 관서에서 관측된 최대 진도는 5였지만, 구내 관측소에서는 진도 6을 관측한 곳이 여러 곳 있었다. 특히 오쓰에서는 "가옥이 무너지는 곳이 많다"라고 보고되어 진도 7로 보고되기도 했다.[43] 이탄지가 분포하는 도카치강 하구 부근의 오쓰촌 주변에서 흔들림이 크게 나타나 피해가 집중되었고, 진원에 가까운 히로오에서는 피해가 적었다.[44]

앗케시 군 하마나카정 기리타푸 지구에서는 쓰나미로 인해 대부분의 가옥이 유실되어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당시 유빙해빙이 쓰나미와 함께 밀려와 가옥 파괴를 더욱 심화시켰다.[45] 쓰나미는 앗케시 만에서 최고 6.5m,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서 2m를 기록했다.

각 지역의 진도[72]
진도도도부현관측소
6홋카이도
(구내 관측소)
도요코로, 이케다, 오쓰, 우라호로, 마쿠베쓰, 온베쓰, 아쓰마
5홋카이도우라카와, 오비히로, 혼베쓰 통보소, 구시로
4홋카이도삿포로 (주오구), 하코다테, 모리, 오타루, 이와미자와, 후라노 통보소, 도마코마이, 히다카 몬베쓰 통보소, 네무로
아오모리현아오모리, 타나부
이와테현미야코


2. 3. 1. 피해

1952년 3월 4일, 도카치 해역에서 규모 M8.2의 대지진이 발생하여 홋카이도와 도호쿠 북부에 걸쳐 큰 피해가 발생했다.[41] 이 지진으로 28명이 사망하고 5명이 실종되었으며, 287명이 부상을 입었다.[73]

가옥 피해는 전파 815채, 반파 1324채, 일부 손괴 6395채, 유실 91채, 침수 328채, 소실 20채였으며, 비주택 피해도 1621채에 달했다. 또한, 선박 451척이 피해를 입었다.[45]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 피해 상황
항목피해 규모
사망자28명[73]
실종자5명
부상자287명
가옥 전파815채
가옥 반파1324채
가옥 일부 손괴6395채
가옥 유실91채
가옥 침수328채
가옥 소실20채
비주택 피해1621채
선박 피해451척



특히, 홋카이도 동부 앗케시 군하마나카정 기리타푸 지구는 쓰나미로 인해 대부분의 가옥이 유실되어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당시 유빙해빙이 쓰나미와 함께 밀려와 가옥 파괴를 더욱 심화시켰다.[45] 8년 후, 이 지역은 1960년 칠레 지진 쓰나미로 또다시 큰 피해를 겪게 된다.

쓰나미는 앗케시 만에서 최고 6.5m,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서 2m를 기록했다. 당시 쓰나미 경보 제도가 발족된 이후 처음으로 큰 쓰나미를 동반한 지진이었으나, 발표된 경보는 실제 피해 상황에 비해 과소평가되었다.[46] 그러나 전날인 3월 3일은 1933년 쇼와 산리쿠 지진 기념일로, 쓰나미 경보 전달 및 피난 훈련이 실시되어 방재에 도움이 되었다.

2. 4. 1968년 지진

1968년 5월 16일 산리쿠 해역 북부에서 M7.9 (지진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75][76] 이 지진은 엄밀하게는 산리쿠 해역 북부 지진이지만, 처음에는 도카치 해역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판단되어 일본 기상청은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으로 명명했다.[79][80] 도호쿠 지방홋카이도의 태평양 연안에 5m 가량의 쓰나미가 발생했고, 산사태 등도 일어났다. 이 지진으로 52명이 사망하고 330명이 부상했다.[74]

1968년, 1989년, 1994년에 발생한 산리쿠 해역 북부 지진(1994년 산리쿠 먼바다 지진 포함)으로 파괴된 영역을 조사한 결과, 각각 A, B, C 3개의 돌기(애스패리티)가 있었고, 1968년 지진에서는 A, B, C 3개 모두, 1989년 지진에서는 C 1개, 1994년 지진에서는 B 1개만 파괴되었다는 결론이 나왔다. 1994년 산리쿠 먼바다 지진의 진원역은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의 진원역에서 남쪽으로 30km 떨어진 지역과 거의 겹친다.[82][83]


2. 5. 2003년 지진

2003년 9월 26일 오전 4시 50분 7.4초(일본 표준시), 홋카이도 도카치 해역에서 지진 규모 M8.0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88]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에서는 최대 진도 6약이 관측되었으며,[89][90] 해일화재 피해가 발생했다.[79][91]

기상청은 이 지진을 '''2003년(헤이세이 15년) 도카치 해역 지진'''으로 명명했다. 1952년에도 같은 지역에서 M8.2의 도카치 해역 지진이 발생했기 때문에, 2003년 지진은 "헤이세이 도카치 해역 지진"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진원 위치는 1952년 지진과 거의 동일하며, 발진 기구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압축축을 갖는 역단층형으로 이 역시 1952년 지진과 유사하다.[55] 그러나 쓰나미 높이 분포는 차이를 보였는데, 구시로시 서쪽에서는 유사했지만, 구시로 동쪽에서 기리타푸에 걸쳐서는 1952년 지진이 2~4배 정도 더 컸다.[55] 이는 2003년 지진이 1952년 지진의 진원역 서쪽 절반만 파괴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쓰나미 역상고 분포와도 일치한다.[56]

진도 5약 이상 관측 지점
진도도도부현관측 지점
6약홋카이도니캇푸정 호쿠세이초, 시즈나이정 도키와[51], 우라카와정 시오미, 시카오이정 히가시마치, 마쿠베쓰정 혼초, 도요코로정 모이와 혼초, 추루이촌 추루이, 구시로정 벳포, 앗케시정 오보로
5강홋카이도아쓰마정 교마치, 아시로정 가미라완, 오비히로시 히가시4조, 혼베쓰정 기타2초, 사라베쓰촌 사라베쓰, 히로오정 나미키도리, 데시카가정 미사토, 구시로시 사이와이초, 오토베쓰정 샤쿠베쓰[52], 벳카이정 도키와
5약홋카이도신시노쓰촌 제47선, 구리사와정 히가시혼초, 난포로정 사카에초, 나가누마정 주오, 구리야마정 마쓰카제, 나카후라노정 시가지, 기요사토정 하고로모초, 기타미시 공원초, 쿤네푸정 히가시마치, 도마코마이시 시라카바, 가미시호로정 가미시호로, 오토후케정 모토마치, 시미즈정 미나미4조, 메무로정 히가시2조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강진 관측망에 따르면, K-NET 히로오와 K-NET 초베쓰에서 진도 6강 상당의 흔들림이 관측되었다.[53]

같은 날 오전 6시 8분에는 도카치 해역에서 M7.1의 최대 여진이 발생하여, 우라카와정에서 진도 6약이 관측되었다.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 전파 상황


홋카이도에서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가 덮쳐 최고 2m 55cm(홋카이도 도요코로정·오쓰 기록)에 달했다.

2. 5. 1. 피해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으로 홋카이도에서 사망자 1명, 실종자 1명, 부상자 849명이 발생했다.[85] 가옥 피해는 전파 116채, 반파 368채, 일부 파손 1,580채, 침수 9채였다.[59]

홋카이도 동부에서는 철도, 도로, 교량이 다수 파손되어 한때 교통이 전면 중단되었다. 주요 도로는 수일, 완전 복구에는 수개월이 걸렸으며, 말단 생활 도로는 복구에 수년이 걸렸다. 네무로 본선에서는 특급 마리모가 탈선하여[61] 승객 1명이 경상을 입었고, 노반, 교량, 신호 시설, 역사 등이 파손되어 시간표가 정상화되기까지 한 달 이상 걸렸다.

구시로항 등 항만 시설에서는 액상화 현상이 다수 발생했다. 구시로 공항은 관제탑 천장 부분이 파손되어 폐쇄되었다. 라이프라인에서는 아쓰마정의 도마토 아쓰마 화력 발전소 4호기가 자동 정지하여 히다카, 도카치 지방을 중심으로 구시로시와 주변 6개 마을의 약 2만 4300 가구가 정전되었다.

도마코마이시에 있는 이데미츠 코산 홋카이도 정유소에서는 석유 탱크 2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62][63] 첫 번째 화재는 장주기 지진동과 석유 탱크의 고유 주기가 일치하여 발생한 슬로싱 현상으로, 중유나프타가 부유 지붕 위에 넘쳐흘러 불꽃에 접촉하여 발생한 링 화재였다. 두 번째 화재는 슬로싱으로 손상된 부유 지붕 위에 나프타가 체류하면서 발생한 전면 화재였다. 이 사건으로 장주기 지진동에 의한 대규모 구조물 피해가 주목받게 되었다.

도카치강 등에서는 쓰나미가 강을 10km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했다. 홋카이도 도요코로정 도카치강 하구에서는 연어 낚시를 하던 낚시꾼 2명이 쓰나미에 휩쓸려 행방불명되었고,[57] 그 중 1명의 시신이 2005년 4월에 발견되었다.[58]

2. 5. 2. 대한민국에의 영향 (2003년)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 당시, 대한민국 기상청동해 연안에서 지진 해일 관측을 발표했다.[88] 당시 노무현 정부는 지진 및 해일 발생에 대한 언론 보도를 주시하며, 동해안 지역의 피해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였다.

2. 6. 2008년 지진

2008년 9월 11일 9시 20분 51초(JST)에 도카치 해역에서 지진이 일어났다.[96][97] 규모는 M7.1이며, 홋카이도에서 최대 진도 5약이 관측되었다.[98] 진앙은 홋카이도 에리모곶 남동쪽 해역 110km 지점이며, 진원 깊이는 31km이다.

홋카이도니캇푸정, 신히다카정, 우라호로정, 다이키정에서 진도 5약이 관측되었다. 우라카와에서는 18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이 지진은 해구형 지진이다.

3. 지진 발생 메커니즘

홋카이도 도카치 해역에서 러시아 연방의 캄차카 반도 해역에 걸쳐 지진 해구가 존재하는데, 이 해구에서는 태평양 판이 북아메리카 판 아래로 연간 수 cm의 속도로 침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두 판의 경계에서 뒤틀림이 발생하며, 그 뒤틀림이 해소되면서 단층형 해구형 지진이 발생한다.

3. 1. 판 경계와 지진

홋카이도 도카치 해역에서 러시아 연방 캄차카 반도 해역에 이르는 지진 해구에서는 태평양 판이 북아메리카 판 아래로 연간 수 cm 속도로 침강한다. 이로 인해 두 판의 경계에 뒤틀림이 발생하고, 이 뒤틀림이 해소되면서 단층형 해구형 지진이 발생한다.[1]

도카치 해역 지진의 예상 규모(M)는 8 안팎이며, 발생 간격은 약 60~80년으로 추정된다. 1843년, 1952년, 2003년에 M8급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네무로 해역 지진과 400~500년 간격으로 연동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2003년 도카치 해역, 1973년 네무로 해역 지진 이후 다음 지진이 연동될 경우 규모는 M8.3 정도로 추정된다.[1] 1968년 지진은 진원역이 "산리쿠 해역 북부"로 분류되어 이 주기에 포함되지 않는다.[2]

도카치 해역에서는 17.5년 주기로 M7 전후의 작은 해구형 지진이나, 27.3년 주기로 침강하는 판 내부에서 발생하는 M7-8 정도의 슬래브 내 지진(심발 지진)도 발생한다.[1]

3. 2. 지진 주기와 예측

도카치 해역에서 러시아 연방의 캄차카 반도 해역에 걸쳐 지진 해구가 존재하는데, 이 해구에서는 태평양 판이 북아메리카 판 아래로 연간 수 cm의 속도로 침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두 판의 경계에서 뒤틀림이 발생하며, 그 뒤틀림이 해소되면서 발생하는 단층형 해구형 지진이다.

예상되는 도카치 해역 지진의 규모(M)는 8 안팎이며, 발생 간격은 약 60~80년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M8급 지진이 1843년, 1952년, 2003년에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400~500년 정도의 간격으로 네무로 해역 지진과 연동해 왔을 가능성이 있으며, 2003년 도카치 해역, 1973년 네무로 해역의 다음 지진이 연동할 경우 규모는 M8.3 정도로 추정된다[1]. 1968년 지진은 진원역이 "산리쿠 해역 북부"로 분류되므로 이 주기에 포함되지 않는다[2]

또한, 도카치 해역에서는 17.5년 주기로 M7 전후의 한 단계 작은 해구형 지진이나 27.3년 주기로 침강하는 판 내부에서 발생하는 M7-8 정도의 슬래브 내 지진(심발 지진)도 발생한다[1]。 지진조사위원회는 2003년 3월 14일, 쿠릴 열도 해구를 따라 발생하는 지진 활동에 대한 장기 평가를 발표했으며, 도카치 해역에서는 M8.1 정도의 해구형 지진이 향후 30년 이내에 60% 정도의 확률로 발생할 것으로 평가했다.[65]

4. 17세기형 초거대 지진

최근 활동 시기가 1611년이라면 이미 400년이 경과한 상태이므로, 모멘트 규모(Mw) 8.5를 넘는 지진이 언제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연구자도 있다[6]

홋카이도 동부나 북방 영토의 해일 퇴적물은 비주기적이며 규모도 제각각이고, 해일 퇴적물 간의 비교도 잘 파악되지 않고 있다. 17세기형 지진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인지도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해일 퇴적물의 통일적인 시공간 분포와 과거의 대형 지진의 실상 규명이 필요하다[23]

4. 1. 발견

모멘트 규모(Mw) 8.5를 넘는 지진이 언제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시기가 왔다고 생각하는 연구자도 있다.[6]

홋카이도 동부나 북방 영토의 해일 퇴적물은 비주기적이며 규모도 제각각이고, 해일 퇴적물 간의 비교도 잘 파악되지 않고 있다. 17세기형 지진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인지도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해일 퇴적물의 통일적인 시공간 분포와 과거의 대형 지진의 실상 규명이 필요하다.[23]

4. 2. 발생 시기 및 규모

13세기와 17세기에 대규모 쓰나미 흔적이 확인되었지만, 마쓰마에 번이 들어서기 이전의 문헌 기록이 없어 연도 특정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최근의 연동은 17세기 초로 여겨진다[20]。또한, 최근 활동에 대해서는 1635년이라는 설[21], 1611년에 발생한, 지금까지 게이초 산리쿠 지진으로 여겨져 온 지진이 이에 해당한다는 설이 있는 한편, 발견된 쓰나미 흔적이 도카치 해역 지진이 아닌 종래의 추정보다 규모가 큰 게이초 산리쿠 지진의 것이라는 설[22]이 있다.

최근 활동 시기가 1611년이라면 이미 400년이 경과한 상태이므로, 모멘트 규모(Mw) 8.5를 넘는 지진이 언제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시기가 왔다고 생각하는 연구자도 있다[6]

홋카이도 동부나 북방 영토의 해일 퇴적물은 비주기적이며 규모도 제각각이고, 해일 퇴적물 간의 비교도 잘 파악되지 않고 있다. 17세기형 지진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인지도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해일 퇴적물의 통일적인 시공간 분포와 과거의 대형 지진의 실상 규명이 필요하다[23]

4. 3. 다른 지역과의 연관성

최근 활동 시기가 1611년이라면 이미 400년이 경과한 상태이므로, 모멘트 규모(Mw) 8.5를 넘는 지진이 언제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시기가 왔다고 생각하는 연구자도 있다.[6]

홋카이도 동부나 북방 영토의 해일 퇴적물은 비주기적이며 규모도 제각각이고, 해일 퇴적물 간의 비교도 잘 파악되지 않고 있다. 17세기형 지진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인지도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해일 퇴적물의 통일적인 시공간 분포와 과거의 대형 지진의 실상 규명이 필요하다.[23]

5. 전조 현상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과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에서는 지진 발생 양상이 유사하여 비슷한 전조 현상이 발생했다. 그러나 전조 현상으로 여겨지는 프리슬립(전조 미끄러짐)은 2003년 지진에서는 감지되지 않았다.[25]

1952년 지진의 여진역에서 최근 지진을 관측하기 위해 2002년 7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그리고 2003년 8월 7일부터 9월 21일까지 자기 부상식 해저 지진계를 이용한 관측이 이루어졌다. 또한, 본진 발생 4일 후인 2003년 10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대학, 기상청, 해양연구개발기구 등의 공동 조사반에 의한 관측이 이루어졌다. 진원역에 직접 설치된 해저 지진계는 육상 관측점 데이터에는 나타나지 않는 미소 지진도 많이 관측했지만, 부드러운 해저 퇴적층 위에 놓여 규모 결정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약 1개월 전부터 전조적인 미소 파괴를 암시하는 데이터가 얻어졌다.

5. 1. 지진 활동의 변화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 발생 7년 전부터 진원역 부근에서는 소규모 지진의 빈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 때도 1990년 이후 유사한 현상이 일어났다는 점이 연구자에 의해 지적되었다[26]태평양 전쟁 이후의 기록에 따르면, 거대 지진 발생 수 년에서 수십 년 전에 미소 지진 횟수가 감소하는 "제2종 지진 공백역" 형성이 확인되었으며[27], 이 기간 동안의 미끄럼 결손으로 인해 큰 에너지가 축적된 것으로 생각된다[28]

본진 직전의 구텐베르크-리히터 법칙

:\log_{10} n = a - bM

의 계수 ''b''값의 최우 추정값은 0.82였으며, 일반적인 지진에 비해 작은 값이었다(일반적인 지진의 경우 ''b''값은 0.6에서 1.1 범위에 있으며, 대부분 1.0에 가깝다). 즉, 진원역 전체의 지진 활동은 비교적 조용했다[64]

5. 2. 심발 지진과의 관계

1952년과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에서는 M8급 본진 발생에 앞서, 섭입 지점을 진원으로 하는 심발 지진이 증가했다.[29] 1952년과 2003년 지진은 지진 발생 양상이 유사하여 비슷한 전조 현상이 발생했다. 그러나 전조 현상으로 발생하는 프리슬립(전조 미끄러짐)은 2003년 지진에서는 감지되지 않았다.[25]

6. 유발 지진 활동

1952년 및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 당시, 주변 지역에서 군발 지진, 화산 활동 등 유발 지진 활동이 관측되었다.[30][31][32][33][34]

6. 1. 군발 지진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 당시에는 아칸호 호반에서 진동을 동반한 군발 지진이 활발해졌으며, 1955년에는 메아칸다케 폰마치네시리 분화구에서 소규모 분화가 발생하여 1960년대 중반까지 분화 활동이 지속되었다.[30][31] 또한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 당시에는 직후 타루마에산에서의 화산 활동이 활발해졌으며,[32] 도카치다케, 메아칸다케, 굿샤로 칼데라에 이르는 화산 전선[33]에서의 군발 지진 활동이 활발해졌다.[34]

6. 2. 화산 활동과의 연관성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 당시 아칸호 호반에서 진동을 동반한 군발 지진이 활발해졌으며, 1955년에는 메아칸다케 폰마치네시리 분화구에서 소규모 분화가 발생하여 1960년대 중반까지 분화 활동이 지속되었다.[30][31]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 직후에는 타루마에산에서 화산 활동이 활발해졌고,[32] 도카치다케, 메아칸다케, 굿샤로 칼데라에 이르는 화산 전선[33]에서 군발 지진 활동이 활발해졌다.[34]

참조

[1] PDF 千島海溝沿い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 PDF 三陸沖から房総沖にかけて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3] PDF 北海道東部,十勝海岸南部地域における17世紀の津波痕跡とその遡上規模の評価 https://www.gsj.jp/d[...] 2003
[4] PDF 北海道における津波に関するアイヌの口碑伝説と記録 http://www.histeq.jp[...] 2015-02-24
[5] 웹사이트 千島海溝沿い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三版) http://www.jishinhon[...]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7-12-19
[6] PDF 17世紀に発生した千島海溝の連動型地震の再検討 http://www.gsj.jp/da[...] 2011
[7] 웹사이트 千島海溝プレート間地震の連動が巨大な津波をもたらした https://www.aist.go.[...]
[8] 학술지 活断層研究と日本列島の現在のテクトニクス https://doi.org/10.1[...] 1996
[9] 학술지 Seventeenth-century uplift in eastern Hokkaido, Japan http://journals.sage[...] 2004
[10] 학술지 Transient Uplift After a 17th-Century Earthquake Along the Kuril Subduction Zone http://science.scien[...] 2004
[11] 학술지 Recurrence of postseismic coastal uplift, Kuril subduction zone, Japan http://onlinelibrary[...] 2006
[12] 학술지 沿岸の地形・地質調査から連動型巨大地震を予測する https://www.gsj.jp/d[...] 2009
[13] 학술지 十勝平野太平洋沿岸の津波堆積物 https://doi.org/10.1[...] 日本活断層学会 2001
[14] 뉴스 「500年間隔地震」 巨大津波 道南も http://mytown.asahi.[...] 朝日新聞
[15] PDF 釧路市春採湖コア中に認められる, 千島海溝沿岸域における過去 9000 年間に生じた 20 層の津波イベント堆積物 千島海溝沿岸域における津波堆積物の研究 http://unit.aist.go.[...] 2001
[16] 학술지 十勝地方太平洋沿岸地域の巨大古津波 (総特集 活断層研究--そのフロンティア) -- (津波・海底断層に関する研究) 2000
[17] PDF イベント堆積物を用いた千島海溝沿岸域の津波遡上規模と再来間隔の検討 https://www.gsj.jp/d[...] 2001
[18] 학술지 北海道の津波堆積物研究の現状と課題:17世紀巨大津波による堆積物の研究を中心に https://doi.org/10.5[...] 日本地質学会 2013
[19] 학술지 北海道日高海岸北部から内浦湾周辺に分布する17世紀の津波堆積物を再現する津波波源の推定 2023
[20] PDF 日本海溝・千島海溝周辺海溝型地震に関する専門調査会(第10回) 資料4 500年間隔地震について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2005-06-22
[21] PDF 地質研究所調査研究成果報告会資料集 http://www.gsh.pref.[...] 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地質研究所 2011-05-18
[22] 웹사이트 【津波・活断層地震から十勝を守る】(上)切迫する500年間隔地震 http://www.tokachi.c[...] 十勝毎日新聞 2011-09
[23] 학술지 北海道太平洋岸の津波堆積物研究:北方四島の津波堆積物と北海道西部太平洋側の断層モデルの検討 https://doi.org/10.5[...] 2017
[24] PDF 日本周辺の巨大地震に伴った大きな余震 http://www.onken.oda[...] 2013
[25] 학술지 前駆すべりと地震の最終的サイズとの関係 https://doi.org/10.4[...] 日本地震学会 2005
[26] 학술지 2003年十勝沖地震 1952年十勝沖地震からの地震活動・前震・本震・余震および誘発地震 https://doi.org/10.4[...] 日本地震学会 2004
[27] PDF 2003年十勝沖地震前の静穏化とその有意性の検討 https://cais.gsi.go.[...] 2011-02
[28] 학술지 GPS観測に基づく日本列島の地震テクトニクス https://doi.org/10.4[...] 日本地震学会 2009
[29] 학술지 2003年十勝沖地震および1952年十勝沖地震に先行した深発地震活動 (続報) https://doi.org/10.4[...] 日本地震学会 2005
[30] 웹사이트 雌阿寒岳 有史以降の火山活動 https://www.data.jma[...] 気象庁
[31] 학술지 大地震によって誘発された噴火 https://doi.org/10.1[...] 北海道大学理学部地球物理学教室 1971-03-25
[32] 학술지 2003年十勝沖地震(MJMA 8.0)発生直後に樽前火山で起きた高感度カメラで明るく見える現象 https://hdl.handle.n[...] 2004
[33] PDF 特集 火山 噴火と恵み https://www.aist.go.[...] 2004
[34] 학술지 2003年十勝沖地震 1952年十勝沖地震からの地震活動・前震・本震・余震および誘発地震 https://doi.org/10.4[...] 日本地震学会 2004
[35] PDF 天保14年(1843)根室沖地震津波の浸水高分布 http://www2.jpgu.org[...]
[36] 웹사이트 十勝沖地震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37] 서적 地震の事典 朝倉書店 2001
[38] 학술지 南千島~北海道東部間の歴史津波の規模と波源域 http://www.histeq.jp[...] 2007
[39] 웹사이트 日高・十勝地域の地震活動の特徴 {{!}} 地震本部 https://www.jishin.g[...] 2021-03-01
[40] 웹사이트 07.十勝沖地震(1915年) : 防災情報のページ - 内閣府 https://www.bousai.g[...] 2021-03-01
[41] 웹사이트 https://www.data.jma.go.jp/svd/eqdb/data/shindo/Event.php?ID=30104 https://www.data.jma[...] 2019-08-09
[42] 학술지 昭和27年3月十勝沖地震調査報告 https://www.jma.go.j[...] 1953
[43] 문서 文献・歴史資料に関する情報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44] 서적 最新版 日本被害地震総覧 416‐2001 2003
[45] 학술지 海氷群を伴う津波の陸上遡上による被害想定の研究概要 (海氷の衝突破壊・挙動および陸上遡上の実験/数値シミュレーションの試み) https://doi.org/10.3[...] 日本混相流学会 2015
[46] 뉴스 十勝沖地震から70年、心配な日本海溝・千島海溝沿いの地震、津波と共に流氷も襲う可能性 https://news.yahoo.c[...] 2022-04-2
[47] 문서 現・新ひだか町
[48] PDF 「平成23 年(2011 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ついて(第28 報) https://www.jma.go.j[...]
[49] 웹사이트 Magnitude 8.3 Hokkaido, Japan region September 25, 2003 http://earthquake.us[...]
[50] 웹사이트 「平成 15 年(2003 年)十勝沖地震」の津波現地調査について - 気象庁と大学等との津波の共同調査(速報)- https://www.jma.go.j[...] 日本気象庁 2022-10-25
[51] 문서 현・[[新ひだか町]]静内ときわ町
[52] 문서 현・釧路市音別町尺別
[53] 웹사이트 強震観測網 http://www.kyoshin.b[...] 2014-03-16
[54] 웹사이트 震度情報の発表について- K-NETによる震度データの活用 - https://www.jma.go.j[...] 気象庁 2006-02-17
[55] 학술지 「平成15年 (2003年) 十勝沖地震」と震源域およびその周辺域の地震活動について https://www.jstage.j[...] 2005
[56] 학술지 The tsunami source area of the 2003 Tokachi-oki earthquake estimated from tsunami travel time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1952 Tokachi-oki earthquake https://earth-planet[...] 2004
[57] 뉴스 河口で釣りの男性2人不明 津波にさらわれた可能性も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03-09-26
[58] 뉴스 十勝沖地震犠牲者と判明 DNA鑑定で2年ぶり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05-07-12
[59] PDF 平成15年(2003年)十勝沖地震(確定報) http://www.fdma.go.j[...] 消防庁 2004-03-31
[60] 뉴스 行方不明の男性が帰宅 知床で釣り、地震被害なし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03-09-29
[61] 학술지 鉄道記録帳2003年9月 鉄道友の会 2003-12-01
[62] 웹사이트 失敗事例 > 大地震により原油の浮き屋根タンクのリング火災2日後、他の浮き屋根タンクで日本初の全面火災発生 https://www.shippai.[...] 特定非営利活動法人失敗学会 2024-11-20
[63] 웹사이트 出光興産北海道製油所地震によるタンク火災 https://gcoe.tus-fir[...] 東京理科大学 研究推進機構 総合研究院 火災科学研究所 2024-11-20
[64] 학술지 海底地震観測が明示した2003年十勝沖地震直前の顕著な現象 https://doi.org/10.4[...] 日本地震学会 2005
[65] 웹사이트 2003 年(平成 15年) 9月26日の4時50分頃 https://www.nilim.go[...] 国土技術政策総合研究所 2024-02-18
[66] 서적 理科年表 令和3年 丸善
[67] 웹인용 十勝沖地震(1952年3月4日) | 災害カレンダー https://typhoon.yaho[...] 2021-05-17
[68] 웹인용 <あのころ>1952年十勝沖地震 津波で大被害 https://www.47news.j[...] 2021-05-17
[69] 웹인용 2-3. 十勝沖地震(1952年) : 防災情報のページ - 内閣府 http://www.bousai.go[...] 2021-05-17
[70] 웹인용 1952年十勝沖地震 ほっかいどうの防災教育 http://kyouiku.bousa[...] 2021-05-27
[71] 웹인용 文献・歴史資料に関する情報 http://www.jishin.go[...]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8-08-29
[72]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1952) https://www.data.jma[...] 2021-05-28
[73] 웹인용 朝日新聞デジタル:1952年 十勝沖地震で津波被害 - 北海道 - 地域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2021-05-17
[74] 웹인용 1968年十勝沖地震(過去の主な大規模災害等事例) https://www.ntt-east[...] 2021-05-17
[75] 서적 理科年表 令和3年 丸善
[76] 웹인용 20世紀後半(1951-)|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公益社団法人 日本地震学会 https://www.zisin.jp[...] 2021-05-29
[77] 웹인용 十勝沖地震(1968年5月16日) | 災害カレンダー https://typhoon.yaho[...] 2021-05-17
[78] 웹인용 1968年十勝沖地震 |日本の災害について|携帯メール連絡網のマ・メール https://www.mamailcn[...] 2021-05-17
[79] 웹인용 気象庁が名称を定めた気象・地震・火山現象一覧 https://www.jma.go.j[...] 2021-05-17
[80] 웹인용 1968年十勝沖地震 ほっかいどうの防災教育 http://kyouiku.bousa[...] 2021-05-27
[81] 웹인용 22.1968年十勝沖地震(1968年) : 防災情報のページ - 内閣府 http://210.149.141.4[...] 2021-05-17
[82] 저널 ゆっくりとした断層破壊による地震津波について https://www.jstage.j[...] 海岸工学論文集 2018-08-21
[83] 저널 三陸沖における再来大地震の震源過程の比較研究 ―1968年十勝沖地震と1994年三陸はるか沖地震の比較― 2018-08-21
[84]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1968) https://www.data.jma[...] 2021-05-28
[85] 뉴스 日本付近で発生した主な被害地震 (平成8年以降) https://www.data.jma[...] 気象庁
[86] 서적 理科年表 令和3年 丸善
[87] 웹인용 平成15年(2003年)十勝沖地震のホームページ https://www.adep.or.[...] 2021-05-17
[88] 웹인용 平成15年(2003年) 十勝沖地震 https://www.kiso.co.[...] 2021-05-17
[89] 웹인용 十勝沖地震(2003年9月26日) | 災害カレンダー https://typhoon.yaho[...] 2021-05-17
[90]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2021-05-17
[91] 웹인용 十勝沖地震(2003年9月の)とは https://kotobank.jp/[...] 知恵蔵 2021-05-17
[92]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2003) https://www.data.jma[...] 2021-05-28
[93] 웹인용 天保十勝沖地震 ほっかいどうの防災教育 http://kyouiku.bousa[...] 2021-05-27
[94] 서적 理科年表 令和3年 丸善
[95] 웹인용 07.十勝沖地震(1915年) : 防災情報のページ - 内閣府 http://www.bousai.go[...] 2021-05-18
[96] 웹인용 2008年9月の地震活動の評価 https://www.jishin.g[...] 2021-05-27
[97] 웹인용 気象庁|報道発表資料 https://www.jma.go.j[...] 2021-05-27
[98] 웹인용 地震情報 09月11日 09時21分頃発生 最大震度:5弱 https://earthquake.t[...] 2021-05-27
[99]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100] 문서 소멸된 판
[101]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